tistory-잡동사니 내블로그 ver.2
네이버에 2012년 이전의 하천답사 포스트가 있으니 여기에서 검색이 안되시면 네이버 블로그에서 보시면 됩니다.
댓글 
2025. 5. 11. 21:39
Posted by 황화수소

이번에는 김해시 구산천 차밭공원 지천 답사기입니다.

지천 이름은 근처에 있는 차밭공원에서 따왔습니다. 사실 구산천 상류나 북문천(?) 상류 일대가 김해장군차 서식지로 지정되어 있는데, 말 그대로 주변에 차나무가 몇십그루씩 자생하고 있어서입니다. 이곳에서 찻잎을 따서 만든 차를 '장군차'라고 부르는데 위키 내용에 따르면 고려 충렬왕이 맛을 보고 이름을 하사했다고 합니다. 다만 녹차라고 하면 보통 보성을 많이 떠올리고, 서식지가 넓지 않은데다 대규모로 차나무를 키우는 것이 아니다 보니 생산량이 많지 않아서 그렇게 유명한 편은 아닙니다. 여튼 이런 유래가 있어서 공원 이름을 차밭공원이라 붙인듯 합니다.

이 지천은 구산천의 대표적인 지천인데, 김해읍성 성곽을 동쪽으로 끼고 돌기 때문에 천연 해자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군데군데 미복개구간이 존재하는것도 특징입니다.

구산천과의 합류점에서 출발합니다. 차밭공원 지천은 오른편에서 합류합니다. 위 사진은 지천의 상류방향 모습입니다.

합류점(하류방향) 모습

공교롭게도 답사 다음날이 아스팔트 재포장날이었습니다. 다음날 왔으면 아스팔트를 절삭하기 때문에 박스 윗면이 드러났을수도 있는데(물론 조금만 긁었으면 아닐수도 있습니다.) 타이밍 참 별로네요.

여기서 왼쪽으로 꺾습니다. 선형 자체는 완만하게 굽어지는 형태입니다.

이후 분성로366번길을 따라갑니다.

분성로와의 사거리를 지납니다.

이후 분성로365번길을 따라갑니다.

특이하게 철판이 도로 중간이 아닌 왼쪽 구석에 있습니다.

직진하면 호계로500번길, 분성로375번길등 복잡하게 만나는 오거리가 나옵니다. 여기서 오른편으로 동광초 지천을 합류하게 됩니다. 이 지천 답사기는 나중에 쓰겠습니다.

문제는 철판 배치인데, 총 3개가 보입니다. 이중 오른편 대각선으로 뻗는것과 왼편에 하나 있습니다.
1. 오른편 대각선으로 뻗은 2개는 방향을 잘 보시면 단층건물이 있는 방향입니다. 왜 그렇게 났을까요?
2. 왼편의 철판은 직진방향 도로에 나있다고 하기에는 너무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습니다. 왜그럴까요? 

1번에 대해서 좀 이해가 안되서 주변을 상세히 봤는데, 황당하게도 저 단층건물을 통과해서 흐르는 경로로 되어있습니다. 그 결과물은 아래에서 보여드리겠습니다.
2번도 잘 이해가 안갔는데, 왼편방향으로 가면 구산천 본류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구간(호계로500번길 상)에 철판이 더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지천의 우회로를 냈다는 얘기가 됩니다.


2편에서도 언급했지만 사진을 안찍어서 로드뷰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우회 지천과 구산천 본류와의 합류점인 동상시장사거리의 모습으로 우회 지천은 오른편에서 흘러나옵니다. 합류점에서 상류방향 모습
파란색 트럭 뒷바퀴쪽에 철판이 있습니다.
여기 철판은 가로폭은 같으나 세로폭이 더 깁니다. 지천이 지나는 오거리 방향 모습
사진 멀리 보이는 철판이 위에서 본 그 철판입니다.

우회 지천의 모습입니다. 철판이 다수 존재하므로 박스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층 건물 뒷편으로 동광초등학교를 올라가는 길에 놓인 담벼락을 따라 공간이 있습니다. 지천이 지난다면 이 구간을 지날 것입니다.

그 이후 구간을 보려면 분성로365번길 16-1에 위치한 솔향기빌 일대를 봐야합니다. 이 건물의 뒷편이 중요한데요.

건물 뒷편에 지천의 미복개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상류방향 모습 하류방향 모습

미복개구간이 있는것은 다행인데 상하류방향 모두 집들이 깔고 앉았습니다.
특히 상류방향쪽은 분성로365번길 18 주택이 하천 위를 완전히 자기땅마냥 쓰고 있는데, 사실 지번도만 놓고보면 맞긴 합니다. 지번도상 분성로365번길 18(동상동 539) 앞으로 하천이 지나가게 되어있고 저 땅은 동광초등학교에 붙어있기 때문입니다. 정작 하천이 동광초등학교 옹벽에 붙어서 흐르는 것뿐입니다.

분성로365번길 18 주택의 모습
그러니까 이 사진은 하천 하류방향으로 보고 찍은 셈입니다.

상류방향 모습
복개된 구간을 주차장으로 쓰고 있는데, 박스 높이가 길보다 높다 보니 단차가 생겼고, 이를 아스팔트로 메꾼 형태입니다.

다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