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 목록 | 구간 |
1편 | 동백섬 입구 - 해운대해수욕장 입구 |
2편 | 해운대해수욕장 입구 - 춘천 미복개구간 시점(운화교회 지천(부흥천) 합류점) |
3편 | 춘천 미복개구간 시점(운화교회 지천(부흥천) 합류점) - 해운대문화회관 교차로 |
4편 | 해운대문화회관 교차로 - 신해운대역 |
5편 | 운화교회 지천(부흥천) : 합류점 - 백병원사거리 119특수대응단 지천 |
6편 | 운화교회 지천(부흥천) : 백병원사거리 - 운화교회 |
7편 | 운화교회 지천(부흥천) : 상류 미복개구간 해운대고 지천(우동천) : 합류점 - 구남로 교차점 |
8편 | 해운대고 지천(우동천) : 구남로 교차점 - 군부대 입구 |
9편 | 해운대고 지천(우동천) : 아원복국 지천 |
10편 | 해리단길 지천(장지천) : 합류점 - 구 동해남부선 철교 |
11편 | 해리단길 지천(장지천) : 구 동해남부선 철교 - 군부대 입구 |
12편 | 해리단길 지천(장지천) : 선황사 지천 |
13편 | 해리단길 지천(장지천) : 해광사 지천 |
14편 | 해리단길 지천(장지천) : 해운대여중 지천 |
이번 편에서의 답사구간입니다.
조금 더 가면 세실로와의 사거리가 나오는데 춘천은 여기서 왼쪽으로 꺾어 세실로를 따라갑니다.
사거리에서 상류방향 모습
3열박스가 다 있을만한 폭이 아닌듯 한데 여기 아니면 갈데가 없습니다. 왜냐면 좌동로쪽은 대천교처럼 도로가 늦게 개설되었기 때문입니다. 그전에는 신시가지 개발전부터 있었던 마을이 있었습니다.
세실로 구간엔는 복개흔적이 없다시피 하므로 훅훅 지나갑니다.
대천로와의 사거리를 지나갑니다.
좌동순환로와의 사거리를 지나갑니다. 이구간 이후의 세실로는 신해운대역 진입로역할도 하기 때문에 신해운대역을 들르는 버스들이 필수로 이구간을 지나게 됩니다.
곧 굴다리가 나오는데 장산로 아래를 지나는 굴다리입니다.
굴다리를 나오면 왼편에 동해선 신해운대역이 있습니다.
사진 오른편이 신해운대역 버스정류장이며, 거기서 뒤쪽으로 쭉 가면 군부대 입구가 나옵니다.
신해운대역 모습
선로가 지하1층에 있는 역입니다. 그러니까 위 사진의 지하에 선로와 승강장이 있는것이죠.
그런데 분명 세실로를 따라 춘천이 있는데 그렇다면?
춘천은 그보다 더 깊은곳에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안그러면 선로 위로 넘어가거나 해야하는데, 그러기엔 깊이가 아주 깊지 않습니다.
하류방향 모습
역 너머가 군부대기 때문에 볼수있는 한계는 여기까지입니다. 담너머로 넘겨보기도 거시기하네요.
하지만 미국산 지도를 보면 군부대내에 춘천이 미복개상태로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담너머로 볼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 보이는데 그러기엔 너무 리스크가 큰지라 여기까지만 봤습니다.
이렇게 해서 춘천 본류 답사기는 마무리하고 다음으로 지천들 답사기를 써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