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 목록 | 구간 |
1편 | 안방학동 지천 합류점 - 해등로 26길 부근 |
2편 | 해등로 26길 부근 - 벽산2차아파트 옆 |
3편 | 벽산2차아파트 옆 - 천주교 혜화동성당 공원 묘원 입구 |
4편 | 풋살장 지천, 장어집 지천 |
5편 | 원당샘 지천 |
6편 | 극동아파트 지천 |
7편 | 안방학동 지천 : 합류점 - 만성사 지천 합류점 |
8편 | 안방학동 지천 : 만성사 지천 합류점 - 상류구간 |
9편 | 안방학동 지천 : 만성사 지천, 진안빌라 지천, 천우빌라 지천 |
10편 | 안방학동 지천 : 진한빌라 지천 |
11편 | 안방학동 지천 : 명성빌라 지천 |
12편 | 안방학동 지천 : 오봉초 지천 |
13편 | 안방학동 지천 : 외딴집 지천 |
이번에는 방학천 극동아파트 지천 답사기입니다.
이름은 상류에 있는 극동아파트에서 따왔습니다.
위 지도와 같이 어느정도까지는 박스구간(빨간선)이나 정작 상류쪽에서는 관으로 들어갑니다.
방학천 본류와의 합류점에서 출발합니다. 극동아파트 지천은 오른편에서 흘러나옵니다.
상류방향쪽으로 가봅시다.
방학로 11길을 따라갑니다.
방학로를 건너갑니다. 이구간의 방학로는 왕복 6차선으로 넓습니다.
이 구간은 도봉 07 마을버스가 편도로 회차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신방학중학교 옆을 지나갑니다.
어느새 시루봉로까지 왔습니다. 이부근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도로로 여기서는 지나가기만 하지만 안방학동 지천쪽에서는 아예 시루봉로를 따라 흐르는 지천도 있습니다.
이곳에서 오른편으로 전형필가옥 지천이 합류합니다. 이 지천도 규모가 작아서 아래에서 간단하게 보겠습니다.
이 지천은 이름에 걸맞게 간송 전형필 선생이 살았던 생가 옆을 지나갑니다.

합류점에서 상류방향 모습

직진하면 삼거리가 나오며 여기서 왼쪽으로 갑니다.
사진에 보이는 한옥은 전형필가옥과는 상관없는 건물입니다.

이게 전형필가옥입니다. 전형필 선생이 여기서 태어난건 아니고 반대로 말년까지 살았던 집이라고 합니다. 다만 부자였던 전형필 선생의 아버지가 땅관리상 기거했던 집이라 갑툭튀한 집은 아닙니다.
![]() |
![]() |
입구와 안내판 | 가옥 입구 |
![]() |
![]() |
가옥 모습 | 왼쪽으로 가면 있는 간송과 아버지의 묘역 봉분이 잘 보이지 않네요. |

근데 하천답사하다 말고 갑자기 전형필 가옥을 왜 들어갔을까요? 물론 전형필 선생이 우리나라 문화재 지키는데 앞장서셔서 존경받는 분이긴 하지만, 하천과는 그리 상관없어 보입니다.
그 이유는 이 전형필가옥 부지 안에 옥정(玉井)이라는 우물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곳에서 살면서 쓸 물을 퍼올릴 용도로 만든 이 우물은 주변 동네사람들도 이용했을 정도로 수량이 많았다고 합니다. 현재는 보호를 위해 덮어놨습니다.

다시 길을 따라갑니다. 오른편에 옥정이 있습니다.

비포장길로 접어듭니다.

왼편 공사현장과 등산로 사이에 지천이 등장합니다.
아쉽게도 관으로 들어가며 흐르는 물이 없었습니다.

상류방향 모습
모양이 수로같아서 이정도까지만 봤습니다.
길이 왼쪽으로 굽어집니다.
교회 앞에서 왼쪽으로 갑니다. 오른쪽으로 가면 극동아파트가 나옵니다.
여기서는 오른쪽으로 가야합니다.
그러면 산자락과 닿는 지점이 나옵니다.
등산로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는데 계단 오른편에서 지천을 볼수 있습니다.
지천의 모습
물이 약간 흐르는데 왠지 저 앞에 있는 민가에서 나오는 물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사진과 같이 민가때문에 하천을 따라 걸을수가 없어서 이정도까지만 봤습니다. 사실 더 봐도 되는데 시간 여유가 부족해서 대충 봣네요. ㅠ
이렇게 해서 극동아파트 지천 답사기를 마무리하고 다음으로 안방학동 지천 답사기를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