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잡동사니 내블로그 ver.2
네이버에 2012년 이전의 하천답사 포스트가 있으니 여기에서 검색이 안되시면 네이버 블로그에서 보시면 됩니다.
댓글 
2025. 4. 20. 22:18
Posted by 황화수소
답사기 목록 구간
1편 안방학동 지천 합류점 - 해등로 26길 부근
2편 해등로 26길 부근 - 벽산2차아파트 옆
3편 벽산2차아파트 옆 - 천주교 혜화동성당 공원 묘원 입구
4편 풋살장 지천, 장어집 지천
5편 원당샘 지천
6편 극동아파트 지천
7편 안방학동 지천 : 합류점 - 만성사 지천 합류점
8편 안방학동 지천 : 만성사 지천 합류점 - 상류구간
9편 안방학동 지천 : 만성사 지천, 진안빌라 지천, 천우빌라 지천
10편 안방학동 지천 : 진한빌라 지천
11편 안방학동 지천 : 명성빌라 지천
12편 안방학동 지천 : 오봉초 지천
13편 안방학동 지천 : 외딴집 지천

개인적인 일이나 시험준비 때문에 한동안 블로그를 못했네요. 드디어 시험이 끝나서 답사기를 써봅니다.

이번에 답사기를 쓸 하천은 서울 도봉구에 있는 방학천입니다.

방학천.jpg
5.33MB

방학천은 북한산국립공원 끝자락에 있는 시루봉일대에서 발원하여 방학동과 쌍문동 일부를 지나 중랑천에 합류하는 하천입니다.

하천이 그렇게 많이 복개된편은 아니라서 답사를 후순위로 미루고 있었는데, 교외선(대곡-의정부)이 무궁화호 운행으로 재개통한 기념으로 한번 탔다가 의정부시의 복개천을 보자니 애매하여 방학천을 보고 왔습니다. 본류는 상대적으로 덜 복개되어 있긴 하지만, 지천들은 대부분 복개되어 있으며 길이가 긴편이라 답사하는데 시간이 꽤 걸립니다.

상대적으로 다른 복개천 대비 노출구간이 많고, 북한산국립공원이라는 사기템(;;)을 배후에 두고 있기 때문에 자연환경이 양호한 편입니다. 서울 도심에서 다소 떨어진 위치의 베드타운에 가까운 방학동 일대를 흐르다 보니 오염도가 덜한것도 영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럼 답사기 시작~~

이번 편에서의 답사구간입니다.

답사 시작점은 방학로5길이 방학천을 건너는 다리에서부터입니다.
시작 위치를 다소 뜬금없게 잡았는데, 여기서부터 중랑천 합류점까지는 직선구간에 복개구간이 없지만 상류방향으로는 구불구불하게 흐르며, 방학로5길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안방학동지천이 합류하는 지점이라서 이기도 합니다. 원칙적으로는 중랑천 합류부부터 보는게 맞지만 절대 복개될일이 없는 구간이고, 로드뷰 등으로 노출이 많이 되어있기 때문에 굳이 보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사진은 다리에서 하류방향으로 본 모습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합류하는 안방학동 지천 답사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방학동 지천 답사기 보러가기(7~13편) : https://potter1007.tistory.com/1406

 

방학천 답사기 7/13

답사기 목록구간1편안방학동 지천 합류점 - 해등로 26길 부근2편해등로 26길 부근 - 벽산2차아파트 옆3편벽산2차아파트 옆 - 천주교 혜화동성당 공원 묘원 입구4편풋살장 지천, 장어집 지천5편원당

potter1007.tistory.com

 

상류방향 모습
다리이지만 하천이 여기서 굽어지기 때문에, 정면방향 도로는 그냥 도로이고 하천은 왼편에서 도로 아래로 들어갑니다.

진짜 상류방향 모습
하천 둔치에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습니다.

굽어지는 구간을 일반 단경간의 다리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는지 4열박스로 구현해놨습니다.

산책로를 따라 상류방향으로 가봅시다.
물이 상당히 맑은지 거울처럼 반사되는 모습까지 볼수 있습니다. 나중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외부적으로 투입하는 유지용수도 있긴 하나, 계곡수도 상당한 양이 흘러내려옵니다. 건천이 되어버린 다른 하천들과는 다소 다른 모습입니다.

상당한 수의 송사리떼들도 볼수 있습니다.

방학로7길이 건너는 다리 아래를 지나갑니다.

산책로는 여기까지입니다. 하천 폭은 여전히 넓으나 이후 구간은 큰 수로마냥 하천 둔치가 없어지다시피 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오른편에서는 수량유지를 위한 물을 흘려보내고 있습니다.
앞의 다리는 도당로가 건너는 다리로 박스구조로 되어있는데, 특이하게도 2열박스+반쪽1열박스+1열박스의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아무래도 원래 2열박스였다가 붙이고 또 붙인 모양입니다. 특히 가장 오른쪽의 1열박스는 최근에 자주 쓰이는 조립식 박스입니다.

관련 기사를 찾아보면 방학천에 투입하는 물은 중랑하수처리장에서 정화한 2급수 물을 끌어올린다고 합니다. 근데 포말이 보이네요. 단순히 폭포처럼 쏟아내려서 공기가 섞인거면 다행이지만, 모양새가 어째 세제가 섞여서 비누거품이 둥둥 떠다니는 물 같습니다.

하류방향 모습

도당로에서 상류방향으로 본 모습
하천 둔치가 좁아지고 양옆 둔덕도 직각옹벽처럼 되어서 큰 수로처럼 보이게 됩니다.

하류방향 모습

얼마 안가서 다시 박스속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서부터 방학천은 박스구간(복개구간)과 미복개구간이 번갈아 나타나게 됩니다.

하류방향 모습

상류방향 모습
아파트 단지 사이로 흐르게 되는데 이 사이에는 길이 없으며 공원으로 꾸며놨습니다. 하천 없이 공원이 있어서 조금 허전해 보이는데, 나중에 다시 미복개구간이 있으니 그리 아쉬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오른편으로 극동아파트 지천이 합류하는데 이 지천 답사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극동아파트 지천 답사기 보러가기(6편) : https://potter1007.tistory.com/1405

 

방학천 답사기 6/13

답사기 목록구간1편안방학동 지천 합류점 - 해등로 26길 부근2편해등로 26길 부근 - 벽산2차아파트 옆3편벽산2차아파트 옆 - 천주교 혜화동성당 공원 묘원 입구4편풋살장 지천, 장어집 지천5편원당

potter1007.tistory.com

 

공원을 따라 걸어갑니다.

방학천이 공원 왼편에서 복개가 풀리기 때문에 왼쪽으로 왔습니다.

상류방향 모습
왼편에는 다세대주택들이 줄지어 서있으므로 그쪽에서 볼수는 없으나 오른편이 공원이기 때문에 접근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하류방향 모습
잘 보시면 3열박스임을 알수 있습니다. 하류쪽에는 금속판으로 박스를 가렸기 때문에 여기서 확인할수 있었네요.

다음으로....

최근글
최근댓글
글보관함
달력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