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 목록 | 구간 |
1편 | 용호만 - LG메트로시티 옆 |
2편 | LG메트로시티 옆 - 신선로 교차점 |
3편 | 신선로 교차점 - 동원아파트 지천 합류점 |
4편 | 동원아파트 지천 합류점 - 유엔교차로 |
5편 | 유엔교차로 - 수영로 196번길 교차점 |
6편 | 수영로 196번길 교차점 - 대연 동원로얄듀크아파트 옆 |
7편 | 대연 동원로얄듀크아파트 옆 - 진남로 128-25 옆 |
8편 | 진남로 128-25 옆 - 진남로 154번길 20 옆 |
9편 | 못골지천 : 합류점 - 유엔평화로 13번길 교차점 |
10편 | 못골지천 : 유엔평화로 13번길 교차점 - 수영로 219번길 교차점 |
11편 | 못골지천 : 수영로 219번길 교차점 - 진남로-못골번영로 교차점 |
12편 | 못골지천 : 진남로-못골번영로 교차점 - 동남빌라 지천 합류점 동천고 지천 : 동남빌라 지천 합류점 - 예술대 지천 합류점 - 진남로64번길 91-8 옆 |
13편 | 동천고 지천 : 진남로64번길 91-8 옆 - 미복개구간 시작점 |
14편 | 동천고 지천 : 미복개구간 |
15편 | 예술대 지천 : 동천고 지천 합류점 - 부산에술대 본관 옆 |
16편 | 예술대 지천 : 부산예술대 본관 옆 - 강의2동 뒷편 미복개구간 시작점 동남빌라 지천 : 동천고 지천 합류점 - 진남로36번길 삼거리 |
17편 | 동남빌라 지천 : 진남로36번길 삼거리 - 미복개구간 |
18편 | 동원아파트 지천 : 합류점 - 대연성당 앞 |
19편 | 동원아파트 지천 : 대연성당 앞 - 수영로267번길 54-13옆 |
20편 | 동원아파트 지천 : 수영로267번길 54-13옆 - 미복개구간 |
못골번영로 중간에 못골지천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과거 저수지 보가 있었던 위치가 이쯤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현재는 과거지형을 알기 어려울만큼 완만해졌습니다.
조금씩 경사가 보입니다.
부산예술대로 가는길과의 사거리가 나옵니다. 이동네를 유일하게 지나다니는 마을버스가 여기서 좌회전하여 부산예술대 앞(안으로는 못들어갑니다.)까지 갑니다.
하천도 여기서 좌우로 갈라지는데 오른쪽이 동남빌라 지천입니다. 이렇게 된 이유가 거의 여기까지가 저수지였기 때문입니다. 저수지를 메꾸고 개발된 주택단지라 직선으로 쭉쭉 뻗어있지만, 하천의 세부경로까지는 어떻게 하지 못한 모양입니다.
못골지천 중 제일 규모가 큰것은 동천고지천이므로 동천고지천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동남빌라 지천 답사기 보러가기(중간부분부터 보셔야 합니다.) : https://potter1007.tistory.com/940
부산 대연천 답사기 16/20
답사기 목록 구간 1편 용호만 - LG메트로시티 옆 2편 LG메트로시티 옆 - 신선로 교차점 3편 신선로 교차점 - 동원아파트 지천 합류점 4편 동원아파트 지천 합류점 - 유엔교차로 5편 유엔교차로 - 수
potter1007.tistory.com
동남빌라지천과의 합류점에서 동천고지천 상류방향으로 찍은 사진
이쪽이 부산예술대로 들어가는 길입니다.
그러다가 다시 오른쪽으로 꺾습니다.
이렇게 된것도 저수지였던 곳과 아닌곳의 하천 선형 차이로 인한것으로 보입니다.
상류방향 모습
같은위치에서의 하류방향 모습
주택과 주택사이를 꽉 채우는듯하는 박스의 윗면이 보입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길이 좁아지는데 실은 왼쪽 건물이 하천박스 위에 서있습니다.
건물옆을 지나면 다시 박스윗면이 제대로 보입니다.
그지점에서의 하류방향 모습
그러다가 이지점이 나오는데 바로 예술대지천과의 합류점입니다.
예술대지천 답사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술대지천 답사기 보러가기 : https://potter1007.tistory.com/939
부산 대연천 답사기 15/20
답사기 목록 구간 1편 용호만 - LG메트로시티 옆 2편 LG메트로시티 옆 - 신선로 교차점 3편 신선로 교차점 - 동원아파트 지천 합류점 4편 동원아파트 지천 합류점 - 유엔교차로 5편 유엔교차로 - 수
potter1007.tistory.com
계속 직진합니다.
진남로 64번길과의 교차점을 지나갑니다.
박스 윗면이 아주 잘 보입니다.
철판도 등장합니다.
그러다가 길이 막히면서 끝나는데, 위쪽에 번영로(도시고속도로)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지점에서 하류방향으로 찍은 사진
다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