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 목록 | 구간 |
청천천 | 청천천 답사기(총 6편) |
1편 | 청천천 합류점 - 세원에너지충전소 부근 |
2편 | 세원에너지충전소 부근 - 청농교회 입구 옆 |
3편 | 청농교회 입구 옆 - 청농로64번길 교차점 |
4편 | 청농로64번길 교차점 - 미복개구간 시작점 |
5편 | 미복개 구간 |
청천공단 남쪽 지천 | 청천공단 남쪽 지천 답사기 |
또 게임에 빠져서 한참을 쉬었습니다.
사실 요즘은 여름이라서 답사할 시기는 아니고, 전에 답사해놨다가 묵혔던 사진을 이제서야 써봅니다.
이번에 답사기를 쓸 하천은 청천천의 지천인 청천공단 지천입니다.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청천천 답사기는 이전에 한적 있습니다.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보시기 바랍니다.
tistory-잡동사니 내블로그 ver.2 :: 인천 청천천 답사기 1/6
청천천 본류를 답사하면서 나비공원쪽의 지천과 그전에 합류하는 지천 두개를 답사했었는데, 사실 지천이 한개 더 있습니다. 바로 청천공단 내를 흐르는 지천인데, 사실 있을것 같긴 한데 어딨는지를 몰라서 세월천 답사할때도 훑어보았지만 찾을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뜬금없이 미복개구간을 발견하고 대략적인 선형을 알게되어서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이 지천은 원적산 북쪽 야산에서 발원하여 청천공단내를 흐르다가 청천천에 합류합니다. 이 청천공단은 생긴지 벌써 50년이 되어가는데 그떄나 지금이나 달라진건 도로폭과 건물모양인지라 예전부터 현재의 형태를 유지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이 지천 말고도 청천공단을 흐르는 지천이 한개 더 있는데 이번에는 답사하지 않았습니다. 상류부를 봐야 지천이라고 확신할수 있을듯 합니다.
이 지천은 위에도 표시했듯이 복개구간과 미복개구간이 절묘하게 섞여있는 구간이 있는게 특징입니다. 그 외는 그냥 공단을 흐르는 흔한 지천으로 하수도가 그대로 유입되는 공장하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럼 답사기 시작~~
답사의 시작점은 청천천과의 합류점으로 청천천도 여기에서 얼마가지 않아 복개가 풀리게 됩니다.
재미있게도 청천공단 지천이 있는 길의 이름이 바로 세월천로입니다. 세월천이 복개되어있어 그 이름을 딴 세월천로는 GM 부평공장앞 삼거리(세월천 답사기를 보신분은 아시겠지만 세월천 최하류 구간이 GM 부평공장 안을 흐릅니다.)에서 시작하여 여기에서 끝납니다. 세월천은 원적산쪽으로 흐르지만 세월천로는 거기에서 고개를 넘어 청천공단을 지나 여기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세월천을 보고 이 지천을 추가로 보는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정작 세월천 답사때는 이 지천의 위치를 몰랐던지라 제대로 보지 못했었습니다.
같은위치에서의 청천천 하류방향 모습
청천천 답사하고 9년이나 지나서 다시올줄은 몰랐네요.
이제 청천공단 지천을 따라가봅시다.
청천공단 지천은 길을 따라간지 얼마 안되어 오른쪽으로 튀어나옵니다.
그리고 청천공단 남쪽방향 지천이 여기서 정면방향 길을 따라 흘러나오는데, 이 지천 답사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천공단 남쪽 지천 답사기 : https://potter1007.tistory.com/1173
그리고는 바로 미복개구간이 시작됩니다.
박스가 1열박스인데 작은편입니다.
물이 깨끗해보이지만 실제로는 하수입니다.
상류쪽 모습
이구간은 희한하게 미복개구간인데 주변이 밭이라서 그런듯 합니다. 이구간이 없었으면 청천공단 지천의 존재를 모를뻔 했습니다.
다른각도로 찍은 사진
박스로 들어가는 지점에서의 하류방향 모습
박스가 보이게 하여 하류방향으로 찍은 사진
일단 도로와는 대각선으로 하여 들어가는데 한번 더 꺾이는 모양입니다.
중간에는 사유지가 있기 때문에 근처의 건물을 통해 들어왔습니다.
그지점에서 찍은 하류방향 모습
다시 박스속으로 들어가버립니다. 그런데 박스가 특이하게 윗부분만 n자 모양으로 올린 형상입니다. 그옆에는 부서진 석축이 있는것으로 봐서 원래 석축구간인데 헐어내고 박스로 덮은것 같습니다.
미복개구간 중간에는 이부근 땅주인이 만든 흙다리가 있습니다. 그지점에서 하류방향으로 찍은 사진
흙다리라고 해서 흙으로 만든건 아니고 그냥 플라스틱 관 2개 위에 성토한것입니다.
그지점에서 찍은 상류방향 모습
다시 박스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잘 보입니다.
박스속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하류방향으로 찍은 사진
그지점에서의 상류방향 모습
다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