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잡동사니 내블로그 ver.2
네이버에 2012년 이전의 하천답사 포스트가 있으니 여기에서 검색이 안되시면 네이버 블로그에서 보시면 됩니다.
댓글 
2025. 6. 7. 23:53
Posted by 황화수소
답사기 목록 구간
면목천 답사기 면목천 본류 답사기(총 10편, 네이버 블로그)
면목천 상류 면목천 상류 답사기(총 4편)
1편 1. 사가정공원 지천 : 면목천 합류점 - 사가정로/용마산로 사거리
2편 1. 사가정공원 지천 : 사가정로/용마산로 사거리 - 상류 구간
3편 1. 사가정공원 지천
  - 용마한신 지천 : 합류점 - 사가정로71길 60 뒷편
4편 1. 사가정공원 지천
  - 용마한신 지천 : 사가정로71길 60 뒷편 - 상류 구간
  - 보운정사 지천
5편 1. 사가정공원 지천
  - 청산주택 지천 : 합류점 - 용마산금호어울림아파트 내
6편 1. 사가정공원 지천
  - 청산주택 지천 : 용마산금호어울림아파트 내 - 상류 구간
2. 면목고 지천 : 면목천 합류점 - 면목로 교차점
7편 2. 면목고 지천 : 면목로 교차점 - 상류 구간
8편 3. 용마복지관 지천 : 면목천 합류점 - 용마산로 교차점
9편 3. 용마복지관 지천 : 용마산로 교차점 - 상류 구간
10편 3. 용마복지관 지천의 지천들
  - 용마복지관 동쪽 지천, 이화공원 지천, 서일대 지천
11편 4. 우림시장 지천 : 면목천 합류점 - 미복개구간 시점
12편 4. 우림시장 지천 : 미복개구간 시점 - 상류구간
  - 용마골프장 지천
13편 5. 봉수대공원 지천 : 면목천 합류점 - 중화초등학교 인근
14편 5. 봉수대공원 지천 : 중화초등학교 인근 - 상류 구간

오랜만에 서울 하천 답사기를 씁니다.

이번에 답사기를 쓸 하천은 서울 중랑구에 있는 면목천의 지천들입니다.

면목천 지천.jpg
10.59MB

면목천 본류 답사는 무려 18년전에 했었습니다.;;

면목천 답사기 보러가기(2007년, 총 10편) : https://blog.naver.com/potter1007/150013600695

 

면목천 답사기 1/10

일단 지도부터 보시길....   면목천이 길어서 지도가 2장으로 분리되었습니다... 이거보다 더 축소를 ...

blog.naver.com

면목천 본류 상류 답사기 보러가기(2015년, 총 4편) : https://potter1007.tistory.com/446

 

면목천 상류 답사기 1/4

답사기 목록 구간 면목천 답사기 면목천 답사기(총 10편) 1편 용마산로 교차점 - 양원역로 교차점 2편 양원역로 교차점 - 망우로 87길 3편 망우로 87길 - 망우저류조공원 4편 망우저류조공원 부근 지

potter1007.tistory.com

저때 지천을 보겠다 보겠다 해놓고 미룬게 18년이 지났다니 제가봐도 너무 게으르네요. ㅠㅠ 강산이 두번이나 바뀌는 시간인데 말이죠. 실제로 저때와 달라지는 부분이 몇군데 있어서 상봉터미널이 없어지고 아파트가 들어서는 등 곳곳에 변화가 있습니다. 어쨌든 지천 답사기를 너무 미룬듯하여 시간을 쪼개서 다녀왔습니다.

지천이 하나로 모여서 면목천에 합류하는것이 아니라 동네마다 하나씩 있기 때문에, 서로간의 연관성은 거의 없습니다. 금번 답사한 지천은 총 5갈래(맨 처음 답사할때 본 지천인 신내동 지천과 용마약수 지천 제외)이며, 연관성 없이 따로 놀기 때문에 다 보려면 하루가지고 안되긴 합니다. 이때문에 사진에서도 기후나 환경 차이가 있을수 있으므로 양해 바랍니다.

편의상 하류쪽에서 합류하는 순서대로 답사기를 쓰겠습니다.

먼저 사가정공원 지천입니다.

지천 이름은 상류부에 있는 사가정공원에서 따왔습니다. 또한 지천의 대부분의 구간이 사가정로를 지나기도 합니다.
면목천 지천중 가장 갈래가 많은 지천이며, 박스로 이어지는 지점도 제일 많은(3군데) 지천입니다. 이 지천은 공교롭게도 답사 전날 폭우가 쏟아지고 답사날도 늦게 비가 떨어질 정도로 흐렸기 때문에 흐르는 물의 양이 제일 많아보입니다. 어디까지나 폭우로 인한 영향이므로 고려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평시에도 저렇게 물이 흐를지는 의문이긴 합니다.

답사 시작점인 면목천과 사가정공원 지천의 합류점입니다. 사가정로와 면목천로와의 사거리이기도 하며, 사진의 뒷편에는 근방의 거의 유일한 대형마트인 홈플러스 면목점이 있습니다. 이 홈플러스 면목점 아래는 면목천의 유수지이기도 합니다. 홈플러스 건물 자체도 유수지 위에 올려져 있으며, 이때문에 홈플러스 면목점은 부지는 넓게 차지하고 있지만 단층건물입니다.

사가정로를 따라갑니다. 원래 이구간은 면목천 답사기 2편에서도 언급했듯이 2차선도로였습니다. 그러나 구리암사대교와 용마터널을 만들면서 도로를 6차선으로 확장하였습니다. 이 영향이 사가정공원 지천에도 미쳤는데 이후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아직까지 복개흔적은 보이지 않습니다.

사가정로와 면목로의 교차점인 사가정역 사거리를 지납니다. 사거리 아래에 사가정역이 있습니다.
면목로는 여전히 2차선 도로입니다.

사가정역 사거리를 지나 사가정로54길로 들어가는 지점 앞에서 오른편으로 청산주택 지천이 합류합니다. 이 지천 답사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산주택 지천 답사기 보러가기(5,6편) : https://potter1007.tistory.com/1457

 

면목천 지천 답사기 5/14

답사기 목록구간1편.1 사가정공원 지천 : 면목천 합류점 - 사가정로/용마산로 사거리2편1. 사가정공원 지천 : 사가정로/용마산로 사거리 - 상류 구간3편1. 사가정공원 지천 - 용마한신 지천 : 합류

potter1007.tistory.com

 

사가정역 사거리를 지나서 조금 가면 용마터널 입구가 나옵니다. 용마터널의 면목동 방향 입구는 지하차도처럼 되어 있습니다.

이 용마터널 입구 때문에 이 앞에서 지천이 터널 진입로 좌우로 갈라집니다. 왼편이 사가정공원 지천, 오른편이 보운정사 지천인데 보운정사 지천 답사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운정사 지천 답사기 보러가기(중간 이후부터) : https://potter1007.tistory.com/1456

 

면목천 지천 답사기 4/14

답사기 목록구간1편.1 사가정공원 지천 : 면목천 합류점 - 사가정로/용마산로 사거리2편1. 사가정공원 지천 : 사가정로/용마산로 사거리 - 상류 구간3편1. 사가정공원 지천 - 용마한신 지천 : 합류

potter1007.tistory.com

 

그런고로 왼쪽으로 건너가서(;;) 직진하면 이 지점이 나오는데, 여기가 용마터널 건설로 인해 영향을 받은 곳입니다.
원래는 사가정공원 지천이 여기서 왼편의 '철학관' 간판이 있는 곳으로 휘어졌었는데, 현재는 사가정로를 따라 직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철학관쪽으로 나있는 철판이 그쪽으로 흘렀다는 가장 큰 증거인데, 사실 그냥 봐도 사유지 사이를 흐르는 애매한 경로임을 알수 있습니다. 이때문에 용마터널을 짓고 사가정로를 넓히면서 아예 사가정로쪽으로 직선화 시킨듯 합니다. 실제 다시 만나는 지점이 사가정로와 용마산로의 사거리이기때문에 직선화를 시켜도 이상하지 않은 경로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철판 안쪽을 봤을때 물이 거의 흐르지 않았기 때문에 경로를 이설한것으로 보입니다.

철학관 간판 뒷편에서 하류방향 모습 같은 위치에서 상류방향 모습
직진하면 사가정로와 한블럭 떨어진 면목로44길을 만납니다. 하류방향 모습
면목로44길 오른편 건물 부지 아래를 흐르는것으로 보입니다. 하류방향 모습

폐천부지로 추정되는 구간의 모습입니다. 전반적으로 복개흔적이 그리 많이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실제로는 없을수도 있구요. 그렇게 된다면 철학관 앞 철판이 왜 그모양인지 설명이 안되긴 합니다.

현재의 구간인 사가정로 구간입니다. 사진에 보이는 배수구 아래를 보면 박스가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더보기

일반적인 배수구 안쪽 모양과 다르게 콘크리트 위를 천공한듯한 모습입니다. 박스를 천공했기 때문에 가능한 모양입니다.

직진하면 사가정로와 용마산로의 사거리가 나옵니다.

건너와서 하류방향으로 본 모습
왼편이 사가정로(현재 흐르는 구간)이고 횡단보도에서 직선 방향이 과거 흘렀던 폐천구간입니다.

다음으로...

최근글
최근댓글
글보관함
달력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